프로필
경력
중앙대학교 글로벌인적자원개발대학원 글로벌물류학과 강사 (2022-현재)
중앙해양안전심판원 재결평석위원회 재결평석위원 (2022-현재)
고려대학교 법학전문대학원 겸임교수 (2022)
한국해양과학기술원 비상임이사 (2021-현재)
김·장 법률사무소 (2021-현재)
법무법인 광장 (2015-2021)
공익법무관 (2012-2015)
주요 활동펼치기
수상
- Rising Star, The Legal 500 Asia Pacific: Shipping (Legalease, 2023)
저서 및 외부활동
- 중대재해 처벌 등에 관한 법률의 도입에 따른 법적 쟁점에 대한 검토 - 해운기업을 중심으로 -, 한국해법학회지 제43권 제2호 (한국해법학회, 2021.11.)
- 2020년 중요 해상판례 소개, 한국해법학회지 제43권 제1호 (공저, 한국해법학회, 2021.5.)
- 포장당 책임제한제도에 있어 선적단위의 해석 - 호주 및 영국 판례와 우리나라 판례의 비교·분석을 중심으로 -, 비교사법 통권 제90호 (공저, 한국비교사법학회, 2020.8.)
- 전자식 화물 인도에 따른 법적 쟁점에 대한 고찰 - 영국 MSC Mediterranean Shipping Company SA v Glencore International AG 판결과 그 시사점을 중심으로 -, 선진상사법률연구 통권 제91호 (공저, 법무부, 2020.7.)
- 2019년 중요해상판례소개, 한국해법학회지 제42권 제1호 (공저, 한국해법학회, 2020.5.)
- 2018년 중요해상판례소개, 한국해법학회지 제41권 제1호 (공저, 한국해법학회, 2019.5.)
- 상법 제814조 제2항 전단의 ‘제1항의 기간’의 해석 - 대법원 2018.12.13. 선고 2018다244761 판결 -, 상사판례연구 제32집 제1권 (공저, 한국상사판례학회, 2019.3.)
- “중대재해 처벌 등에 관한 법률의 도입에 따른 법적 쟁점에 대한 검토 - 해운기업을 중심으로 -” 발표, 한국해법학회 2021년 봄철 정기학술발표회 (한국해법학회, 2021)
- “해상운송에서 운송인의 손해배상의 범위” 발표, 제10회 동아시아 해상법 포럼 (고려대학교·와세다대학교·대련해사대학 공동주최, 2017)
학력
고려대학교 대학원 (법학박사, 상법, 2021)
University College London (LL.M., 2020)
고려대학교 대학원 (법학석사, 상법, 2014)
대법원 사법연수원 (41기, 2012)
고려대학교 (법학사, 2009)
제50회 사법시험 합격 (2008)
자격
변호사, 대한민국 (2012)
언어
한국어, 영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