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메뉴

이정수 변호사

T.02-3703-1430 F.02-737-9091/9092
이정수 변호사
이정수 변호사

이정수변호사

T.02-3703-1430 F.02-737-9091/9092 E.jslee2@kimchang.com

관련 분야

소개

이정수 변호사는 30여년간 검찰에서 다양한 형사사건을 수사 및 수사지휘한 풍부한 경험과 지식을 바탕으로 김·장 법률사무소의 기업형사·화이트칼라범죄 및 일본 업무 관련 법률자문을 담당하고 있습니다.  

이 변호사는 2005년 김·장 법률사무소에 합류하기 전, 전국 지방검찰청과 고등검찰청의 차장검사 및 검사장을 두루 거치고 대검찰청 차장검사를 마지막으로 역임하며 검찰 공직 생활을 마무리하였습니다. 특히 대검찰청 중앙수사부 수사기획관, 서울지방검찰청 특수부장, 제3차장검사로 재직 중 전직 대통령 뇌물수수사건, 기업의 대형 형사사건을 진두지휘하여 큰 성과를 이루어낸 공로를 인정받아 황조근정훈장 및 홍조근정훈장을 수여 받았습니다. 

프로필

경력

법무부 변호사제도개선위원회 제3분과 위원장 (2014)

법무부 검사인사위원회 위원장 (2006) 

김·장 법률사무소 (2005-현재) 

대검찰청 차장검사 (2004.6.-2005.3.) 

부산고등검찰청 검사장 (2003) 

부산지방검찰청 검사장 (2003) 

대검찰청 공안부장 (2002) 

대전지방검찰청 검사장 (2001) 

대검찰청 기획조정부장 (2000) 

서울고등검찰청 차장검사 (검사장 승진, 1999) 

서울지방검찰청 3차장. 1차장검사 (1998) 

수원지방검찰청 2차장검사 (1997) 

대검찰청 수사기획관 (1995) 

서울지방검찰청 특수3부장검사 (1993) 

국회 법제사법위원회 수석전문위원 (1992) 

대검찰청 기획과장 (1990) 

대전지방검찰청 서산지청장 (1987) 

해군법무관 (1976-1978) 

주요 실적펼치기

  • 기업형사사건 대리 및 자문 
  • 대기업의 비자금 조성, 횡령, 배임사건 
  • 기업의 대규모 탈세사건 
  • 기업 임원의 뇌물공여 및 정치인, 공무원의 뇌물수수사건 
  • 대형 건설회사의 담합사건 
  • 대기업 상호간의 영업비밀 침해사건 
  • 의료계의 리베이트수수 관련 사건 
  • 기업의 각종 노동관련 사건 
  • 종교단체의 내분과 관련한 횡령, 배임사건 
  • 일본계 기업 임직원의 횡령, 배임사건 
  • 일본계 기업과 국내기업간의 특허분쟁, 영업비밀 침해사건 
  • 일본계 기업의 compliance 대책 자문

주요 활동펼치기

수상

  • 홍조근정훈장 (2005)
  • 황조근정훈장 (1997)

저서 및 외부활동
    • 제 4기 기후변화 리더십 과정 수료 (기후변화센터, 2009)
    • 갱생보호사업의 실태와 활성화 방안 (공저, 한국형사정책연구원, 1990) 
    • 메스암페타민 사범의 현황과 전망 (공저, 한국형사정책연구원, 1989) 
    • 개방교도소의 발전방향에 관한 연구: 개방처우를 중심으로 (공저, 한국형사정책연구원, 1989) 
    • 각국의 개방처우의 현황과 전망 (해외 파견검사 연구논문집 제5집, 법무부, 1986) 

학력

    일본 Chuo University 비교법연구소 객원연구원 (1985-1986)

    대법원 사법연수원 (5기, 1975) 

    제15회 사법시험 합격 (1973) 

    고려대학교 (법학사, 1973) 

자격

    변호사, 대한민국 (1975)

언어

한국어, 영어, 일본어

업무분야 선택

레이어 닫기

업무분야 선택

레이어 닫기

공유하기

레이어 닫기
  

이정수
변호사


T. 02-3703-1430      
F. 02-737-9091/9092
     
E. jslee2@kimchang.com

  




이정수 변호사는 30여년간 검찰에서 다양한 형사사건을 수사 및 수사지휘한 풍부한 경험과 지식을 바탕으로 김·장 법률사무소의 기업형사·화이트칼라범죄 및 일본 업무 관련 법률자문을 담당하고 있습니다.  

이 변호사는 2005년 김·장 법률사무소에 합류하기 전, 전국 지방검찰청과 고등검찰청의 차장검사 및 검사장을 두루 거치고 대검찰청 차장검사를 마지막으로 역임하며 검찰 공직 생활을 마무리하였습니다. 특히 대검찰청 중앙수사부 수사기획관, 서울지방검찰청 특수부장, 제3차장검사로 재직 중 전직 대통령 뇌물수수사건, 기업의 대형 형사사건을 진두지휘하여 큰 성과를 이루어낸 공로를 인정받아 황조근정훈장 및 홍조근정훈장을 수여 받았습니다. 






    법무부 변호사제도개선위원회 제3분과 위원장 (2014)

    법무부 검사인사위원회 위원장 (2006) 

    김·장 법률사무소 (2005-현재) 

    대검찰청 차장검사 (2004.6.-2005.3.) 

    부산고등검찰청 검사장 (2003) 

    부산지방검찰청 검사장 (2003) 

    대검찰청 공안부장 (2002) 

    대전지방검찰청 검사장 (2001) 

    대검찰청 기획조정부장 (2000) 

    서울고등검찰청 차장검사 (검사장 승진, 1999) 

    서울지방검찰청 3차장. 1차장검사 (1998) 

    수원지방검찰청 2차장검사 (1997) 

    대검찰청 수사기획관 (1995) 

    서울지방검찰청 특수3부장검사 (1993) 

    국회 법제사법위원회 수석전문위원 (1992) 

    대검찰청 기획과장 (1990) 

    대전지방검찰청 서산지청장 (1987) 

    해군법무관 (1976-1978) 






  •   기업형사사건 대리 및 자문 
  •   대기업의 비자금 조성, 횡령, 배임사건 
  •   기업의 대규모 탈세사건 
  •   기업 임원의 뇌물공여 및 정치인, 공무원의 뇌물수수사건 
  •   대형 건설회사의 담합사건 
  •   대기업 상호간의 영업비밀 침해사건 
  •   의료계의 리베이트수수 관련 사건 
  •   기업의 각종 노동관련 사건 
  •   종교단체의 내분과 관련한 횡령, 배임사건 
  •   일본계 기업 임직원의 횡령, 배임사건 
  •   일본계 기업과 국내기업간의 특허분쟁, 영업비밀 침해사건 
  •   일본계 기업의 compliance 대책 자문





수상

  •   홍조근정훈장 (2005)
  •   황조근정훈장 (1997)

저서 및 외부활동

  •   제 4기 기후변화 리더십 과정 수료 (기후변화센터, 2009)
  •   갱생보호사업의 실태와 활성화 방안 (공저, 한국형사정책연구원, 1990) 
  •   메스암페타민 사범의 현황과 전망 (공저, 한국형사정책연구원, 1989) 
  •   개방교도소의 발전방향에 관한 연구: 개방처우를 중심으로 (공저, 한국형사정책연구원, 1989) 
  •   각국의 개방처우의 현황과 전망 (해외 파견검사 연구논문집 제5집, 법무부, 1986) 





학력

    일본 Chuo University 비교법연구소 객원연구원 (1985-1986)

    대법원 사법연수원 (5기, 1975) 

    제15회 사법시험 합격 (1973) 

    고려대학교 (법학사, 1973) 


자격

    변호사, 대한민국 (1975)


언어
  •    한국어, 영어, 일본어





기업형사·화이트칼라범죄 ,  일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