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메뉴

이진웅 변호사

이진웅 변호사
이진웅 변호사

이진웅변호사

T.02-6678-2800 F.02-737-9091/9092 E.jinwoong.lee@kimchang.com

관련 분야

소개

김·장 법률사무소의 이진웅 변호사는 법원에서 20년간 재직한 경험을 바탕으로 기업구조조정, 도산·구조조정·파산 소송, 기업형사·화이트칼라범죄, 은행·증권·금융 소송, M&A 및 기업지배구조 소송 등의 분야에서 소송 및 자문업무를 수행하고 있습니다.

이 변호사는 김·장 법률사무소에 합류하기 전 서울회생법원, 서울중앙지방법원, 서울남부지방법원, 서울서부지방법원 등에서 판사 및 부장판사로 재직하면서 민사, 형사, 영장, 회생·파산, 가처분 사건 등 다양한 분야의 재판업무를 담당했습니다. 특히, 서울회생법원, 서울중앙지방법원 및 수원지방법원 각 파산부 근무를 통해 기업회생, 파산 등 도산절차 및 회사, M&A 관련 업무에 전문성을 쌓았습니다. 또한 법원행정처에서 재판 관련 사법행정에 관하여 폭넓고 풍부한 경험을 쌓았습니다.

프로필

경력

김·장 법률사무소 (2024-현재)

서울서부지방법원 부장판사 (2022-2024)

서울남부지방법원 부장판사 (2020-2022)

International Insolvency Institute(국제도산협회) 회원 (2018-현재)

서울회생법원 부장판사 (2017-2020)

서울중앙지방법원 부장판사 (2017)

광주지방법원 부장판사 (2016-2017)

법원행정처 회생·파산위원회 간사 (2014-2016)

법원행정처 사법지원심의관 (2014-2016)

서울중앙지방법원 판사 (2010-2014)

수원지방법원 판사 (2007-2010)

부산지방법원 판사 (2004-2007)

공군법무관 (2001-2004)

주요 활동펼치기

저서 및 외부활동
    논문
     
    • 소수주주의 회계장부 등 열람·등사청구권과 회생절차 (법률신문, 2021.2.)
    • “사전계획안 회생절차”, BFL (공저, 서울대학교 금융법센터, 2018.11.)
    • 서울회생법원 실무준칙 제정 경과 및 주요내용 (공저, 법조협회, 2017)
    • 주요 국가의 도산제도 현황: 국제적 시각 (공저, 법조협회, 2017)
    • “사채관리회사 제도와 회생절차”, 도산법연구 (사단법인 도산법연구회, 2013)
    • 중소기업 회생절차의 특수성과 개선방안 (사법발전재단, 2013)
    • “회생절차에서의 관계인집회 운영에 관한 제문제: 관계인집회 병합 문제를 중심으로” (한국법학원, 2013)
    • PEF의 회생기업에 대한 투자 및 회생절차 종결: 사례 및 실무상 쟁점의 소개 (법조협회, 2011)
     
    저서
     
    • 도산판례백선 (공저, 박영사, 2021)
    • 회생사건실무(상),(하) 제4판 (공저, 박영사, 2014)
    • 회생사건실무(상),(하) 제5판 (공저, 박영사, 2020)
    • 온주 채무자 회생 및 파산에 관한 법률 (공저, 로앤비, 2023)

학력

    University of Washington School of Law (LL.M., 2012)

    대법원 사법연수원 (30기, 2001)

    서울대학교 (법학사, 1999)

    제40회 사법시험 합격 (1998)

자격

    변호사, 대한민국 (2001)

언어

한국어, 영어

업무분야 선택

레이어 닫기

업무분야 선택

레이어 닫기

공유하기

레이어 닫기
  

이진웅
변호사


T. 02-6678-2800      
F. 02-737-9091/9092
     
E. jinwoong.lee@kimchang.com

  




김·장 법률사무소의 이진웅 변호사는 법원에서 20년간 재직한 경험을 바탕으로 기업구조조정, 도산·구조조정·파산 소송, 기업형사·화이트칼라범죄, 은행·증권·금융 소송, M&A 및 기업지배구조 소송 등의 분야에서 소송 및 자문업무를 수행하고 있습니다.

이 변호사는 김·장 법률사무소에 합류하기 전 서울회생법원, 서울중앙지방법원, 서울남부지방법원, 서울서부지방법원 등에서 판사 및 부장판사로 재직하면서 민사, 형사, 영장, 회생·파산, 가처분 사건 등 다양한 분야의 재판업무를 담당했습니다. 특히, 서울회생법원, 서울중앙지방법원 및 수원지방법원 각 파산부 근무를 통해 기업회생, 파산 등 도산절차 및 회사, M&A 관련 업무에 전문성을 쌓았습니다. 또한 법원행정처에서 재판 관련 사법행정에 관하여 폭넓고 풍부한 경험을 쌓았습니다.






    김·장 법률사무소 (2024-현재)

    서울서부지방법원 부장판사 (2022-2024)

    서울남부지방법원 부장판사 (2020-2022)

    International Insolvency Institute(국제도산협회) 회원 (2018-현재)

    서울회생법원 부장판사 (2017-2020)

    서울중앙지방법원 부장판사 (2017)

    광주지방법원 부장판사 (2016-2017)

    법원행정처 회생·파산위원회 간사 (2014-2016)

    법원행정처 사법지원심의관 (2014-2016)

    서울중앙지방법원 판사 (2010-2014)

    수원지방법원 판사 (2007-2010)

    부산지방법원 판사 (2004-2007)

    공군법무관 (2001-2004)






저서 및 외부활동

논문
 
  •   소수주주의 회계장부 등 열람·등사청구권과 회생절차 (법률신문, 2021.2.)
  •   “사전계획안 회생절차”, BFL (공저, 서울대학교 금융법센터, 2018.11.)
  •   서울회생법원 실무준칙 제정 경과 및 주요내용 (공저, 법조협회, 2017)
  •   주요 국가의 도산제도 현황: 국제적 시각 (공저, 법조협회, 2017)
  •   “사채관리회사 제도와 회생절차”, 도산법연구 (사단법인 도산법연구회, 2013)
  •   중소기업 회생절차의 특수성과 개선방안 (사법발전재단, 2013)
  •   “회생절차에서의 관계인집회 운영에 관한 제문제: 관계인집회 병합 문제를 중심으로” (한국법학원, 2013)
  •   PEF의 회생기업에 대한 투자 및 회생절차 종결: 사례 및 실무상 쟁점의 소개 (법조협회, 2011)
 
저서
 
  •   도산판례백선 (공저, 박영사, 2021)
  •   회생사건실무(상),(하) 제4판 (공저, 박영사, 2014)
  •   회생사건실무(상),(하) 제5판 (공저, 박영사, 2020)
  •   온주 채무자 회생 및 파산에 관한 법률 (공저, 로앤비, 2023)





학력

    University of Washington School of Law (LL.M., 2012)

    대법원 사법연수원 (30기, 2001)

    서울대학교 (법학사, 1999)

    제40회 사법시험 합격 (1998)


자격

    변호사, 대한민국 (2001)


언어
  •    한국어, 영어





기업구조조정 ,  도산·구조조정·파산 소송 ,  기업형사 소송 ,  은행·증권·금융 소송 ,  M&A 및 기업지배구조 소송 ,  소송