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메뉴

김현경 변호사

김현경 변호사
김현경 변호사

김현경변호사

T.02-3703-1698 F.02-737-9091/9092 E.hyunkyung.kim2@kimchang.com

관련 분야

소개

김·장 법률사무소의 김현경 변호사는 프라이버시·정보보호 분야에서 활동하고 있습니다.

김 변호사는 장관급 중앙행정기관으로 출범한 개인정보보호위원회에서 근무한 최초의 변호사로서 약 4년간 개인정보 보호에 관한 법령 해석을 총괄하였고, 위원회 내·외부 자문을 통하여 관련 법·제도 개선 및 규제 업무에도 참여하였습니다.

프로필

경력

김·장 법률사무소 (2024.11.-현재)

개인정보보호위원회 행정사무관 (2020.11.-2024.10.)

서울지방국세청 (2018.11.-2020.11.)

법무법인 한별 (2016.7.-2018.7.)

주요 실적펼치기

  • 개인정보보호위원회 법령 해석 심의·의결 제도 운영 지원 및 안건 처리 업무 총괄
  • 개인정보 보호법 해석 기준 마련 (제18조제2항제5호, 제15조제1항제6호, 제6조, 제58조 제1항 등)
  • 적극행정위원회 심의를 통한 적극적 법령 해석 (주민등록번호 가명정보 결합키 활용 가능 여부)
  • 혁신지원 원스톱 서비스 협조 (개인정보 국외이전을 위한 정보주체의 동의 관련 법령 적극 해석 신청 건)
  • AI 시대 대비 개인정보 보호법 개정 Task Force
  • EU에 대한 동등성 인정 Task Force
  • 일관성 있는 개인정보 규제체계 확립을 위한 회의
  • 중소·스타트업, 지방자치단체·공공기관 실무자 대상 ‘찾아가는 개인정보 법령해석 지원센터’ 현장(대면) 상담
  • 공공기관 민감 개인정보 활용사업 사전진단 Task Force

주요 활동펼치기

수상

  • 개인정보보호위원회 위원장 표창 (위원회 발전 유공, 2022)

저서 및 외부활동
     
    저서
     
    • 2023 개인정보 보호법 표준 해석례 (공저, 개인정보보호위원회, 2023.7.)
    • 전통유교문화 체험 및 관광 활성화를 위한 향교·서원 시설개보수 지원 방안 (공저, 문화체육관광부 용역보고서, 2012)
     
    활동
     
     
    • 개인정보 아카데미 “24 상반기 주요 사례 소개” 강의 (개인정보보호위원회, 2024.8.)
    • “개인정보 보호법 해석 및 상담 사례” 강의 (금융감독원 법무실 보험·소비자보호팀, 2023.12.)
    • “심의·의결 제도 및 주요 해석 사례” 강의 (제12회 개인정보보호페어&CPO워크숍, 2023.6.)

학력

    KAIST 문술미래전략대학원 (공학석사 과정, 2024.2.-현재)

    연세대학교 법무대학원 (석사, 조세법, 2022)

    서울시립대학교 법학전문대학원 (석사, 2016)

    성균관대학교 (학사, 국어국문학 및 법학, 2012)

자격

    변호사, 대한민국 (2016)

언어

한국어, 영어

관련 소식

업무분야 선택

레이어 닫기

업무분야 선택

레이어 닫기

공유하기

레이어 닫기
  

김현경
변호사


T. 02-3703-1698      
F. 02-737-9091/9092
     
E. hyunkyung.kim2@kimchang.com

  




김·장 법률사무소의 김현경 변호사는 프라이버시·정보보호 분야에서 활동하고 있습니다.

김 변호사는 장관급 중앙행정기관으로 출범한 개인정보보호위원회에서 근무한 최초의 변호사로서 약 4년간 개인정보 보호에 관한 법령 해석을 총괄하였고, 위원회 내·외부 자문을 통하여 관련 법·제도 개선 및 규제 업무에도 참여하였습니다.






    김·장 법률사무소 (2024.11.-현재)

    개인정보보호위원회 행정사무관 (2020.11.-2024.10.)

    서울지방국세청 (2018.11.-2020.11.)

    법무법인 한별 (2016.7.-2018.7.)






  •   개인정보보호위원회 법령 해석 심의·의결 제도 운영 지원 및 안건 처리 업무 총괄
  •   개인정보 보호법 해석 기준 마련 (제18조제2항제5호, 제15조제1항제6호, 제6조, 제58조 제1항 등)
  •   적극행정위원회 심의를 통한 적극적 법령 해석 (주민등록번호 가명정보 결합키 활용 가능 여부)
  •   혁신지원 원스톱 서비스 협조 (개인정보 국외이전을 위한 정보주체의 동의 관련 법령 적극 해석 신청 건)
  •   AI 시대 대비 개인정보 보호법 개정 Task Force
  •   EU에 대한 동등성 인정 Task Force
  •   일관성 있는 개인정보 규제체계 확립을 위한 회의
  •   중소·스타트업, 지방자치단체·공공기관 실무자 대상 ‘찾아가는 개인정보 법령해석 지원센터’ 현장(대면) 상담
  •   공공기관 민감 개인정보 활용사업 사전진단 Task Force





수상

  •   개인정보보호위원회 위원장 표창 (위원회 발전 유공, 2022)

저서 및 외부활동

 
저서
 
  •   2023 개인정보 보호법 표준 해석례 (공저, 개인정보보호위원회, 2023.7.)
  •   전통유교문화 체험 및 관광 활성화를 위한 향교·서원 시설개보수 지원 방안 (공저, 문화체육관광부 용역보고서, 2012)
 
활동
 
 
  •   개인정보 아카데미 “24 상반기 주요 사례 소개” 강의 (개인정보보호위원회, 2024.8.)
  •   “개인정보 보호법 해석 및 상담 사례” 강의 (금융감독원 법무실 보험·소비자보호팀, 2023.12.)
  •   “심의·의결 제도 및 주요 해석 사례” 강의 (제12회 개인정보보호페어&CPO워크숍, 2023.6.)





학력

    KAIST 문술미래전략대학원 (공학석사 과정, 2024.2.-현재)

    연세대학교 법무대학원 (석사, 조세법, 2022)

    서울시립대학교 법학전문대학원 (석사, 2016)

    성균관대학교 (학사, 국어국문학 및 법학, 2012)


자격

    변호사, 대한민국 (2016)


언어
  •    한국어, 영어





프라이버시·정보보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