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메뉴

김도엽 변호사

T.02-3703-1725 F.02-737-9091/9092
김도엽 변호사
김도엽 변호사

김도엽변호사

T.02-3703-1725 F.02-737-9091/9092 E.doyeup.kim@kimchang.com

관련 분야

소개

김도엽 변호사는 IT, 개인정보 및 컴플라이언스 등 각종 규제 관련 분야에서 경력을 쌓아온 IT·방송통신 전문 변호사입니다.

김 변호사는 각종 서비스/시스템의 적법성 검토 및 개인정보 보호 및 인공지능 서비스의 거버넌스 구축, 개인정보를 이용한 빅데이터 분석, 국외전송, IoT에서의 데이터 이용, 맞춤형 광고 등 신사업 프로젝트를 담당하였으며, 특히, 고객 기반 맞춤형 광고 플랫폼 구축 프로젝트와 관련하여 EU, US, 중동, CIS, 동남아, 서남아, 중남미 지역에서 데이터 결합, 국외전송, 광고성 정보의 처리 등 법무이슈를 주도적으로 검토하였습니다. 김 변호사는 개인정보보호와 관련하여 ISMS-P (Personal information & Information Security Management System) 인증심사원, CIPP/E (Certified Information Privacy Professional/유럽), 국제 정보보호 경영시스템 인증심사원 (ISO 27001), 개인정보 영향평가 (PIA, Privacy Impact Assessment) 전문인력 자격을 보유하고 있으며, 고려대학교 정보보호대학원 정보보호학과에서 박사과정을 수료하였고, 국내/해외 정부 규제기관 조사 대응 및 개인정보 유출/도난 사건 대응 업무, 보건의료데이터, 신용정보 관련 다수의 자문 업무도 담당하여 진행한 바 있습니다.

김 변호사는 실무 경험을 바탕으로 개인정보보호위원회 고문변호사, 과학기술정보통신부 데이터분쟁조정위원, 방송통신위원회 자문변호사, 방송통신위원회 자율규제위원, 개인정보보호위원회 제도혁신자문단, 행정자치부 EU 적정성평가 민관합동추진단 위원, 행정자치부 전자정부 민관협력 포럼 위원, 한국인터넷진흥원 개인정보보호 포럼 위원, 국세청, 신용정보원·금융보안원·금융결제원의 적정성 평가위원으로 위촉되었으며, 영상정보 보호법, 개인정보 보호법, 정보통신망법 제·개정 자문 및 우리 기업을 위한 EU 일반 개인정보호법 (GDPR: General Data Protection Regulation) 안내서, GDPR 가이드라인, GDPR 가이드북을 공동 집필하는 등, 국내 개인정보 관련 법률은 물론, GDPR, CCPA (California Consumer Privacy Act)를 포함한 글로벌 개인정보 보호법 자문 및 Compliance 프로젝트 업무를 수행하고 있습니다.

프로필

경력

김·장 법률사무소 (2024-현재)

개인정보 보호위원회 온라인 행태정보 보호 민·관협의체 위원(2024-현재)

개인정보 보호위원회 가명정보 전문가(2024-현재)

한국인터넷진흥원 개인정보 정책자문단(2024-현재)

개인정보 보호위원회 국외이전전문위원회 위원 (2024-현재)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제3기 인공지능 윤리정책 포럼 윤리분과 위원 (2024-현재)

국세청 소득자료 심의위원회 위원 (2024-현재)

금융보안원 가명처리 적정성 평가위원 (2024-현재)

개인정보보호위원회 인공지능 프라이버시 민·관 정책협의회 위원 (2023-현재)

개인정보보호위원회 마이데이터 하위법령 TF 위원 (2023-현재)

과학기술정보통신부 데이터 분쟁조정위원회 위원 (2023-현재)

한국지능정보사회진흥원 지능법제도 포럼 위원 (2023-현재)

서울대병원 데이터 심의위원회(Data Review Board) 위원 (2023-현재)

국세청 국세통계센터 심의회 위원 (2023-현재)

신용정보원 동의 등급제 평가위원 (2023-현재)

보건의료정보원 표준화 추진 워킹그룹 위원 (2023-현재)

사회보장정보원 보건복지분야 개인정보 비식별조치 적정성 평가위원 (2023-현재)

인공지능법학회 대외협력이사 (2023)

국토교통부 국토교통 데이터산업 활성화 포럼 위원 (2022)

개인정보 보호위원회 기술포럼 기술분과 위원 (2022-현재)

개인정보 보호위원회 고문변호사 (2020-현재)

개인정보 보호위원회 제도혁신자문단 위원 (2019)

신용정보원 CREDB 비식별정보 제공 심의위원회 위원 (2019-2021)

방송통신위원회 개인정보 법령자문위원회 위원 (2019-2021)

법무법인 태평양 (2018-2024)

방송통신위원회 개인정보보호 자율규제위원회 위원 (2018-2020)

한국인터넷진흥원 가명처리 적정성 평가위원 (2017-현재)

신용정보원 금융분야 개인정보 비식별조치 적정성 평가위원 (2018-현재)

금융보안원 금융분야 개인정보 비식별조치 적정성 평가위원 (2018-2021)

행정자치부 영상정보전문가포럼 위원 (2016)

행정자치부 한국·EU 적정성 전자정부 민관협력포럼 위원 (2016-2018)

한국인터넷진흥원 개인정보보호 포럼 위원 (2016-2020)

대한변호사협회 IT전문, 방송통신전문 변호사 (2015-현재)

삼성전자 법무실 개인정보보호 사무국 (2012-2018)

주요 실적펼치기

  • 글로벌 IT기업의 글로벌 개인정보보호보호 체계 구축 (개인정보보호 거버넌스 수립, 내부 가이드라인, 국외전송, Privacy by Design, 글로벌/현지 Privacy Policy 자문)
  • 국내 금융사의 인공지능 거버넌스 체계 구축
  • 글로벌 IT기업의 데이터의 수집, 결합, 분석, 마케팅 관련 개인정보 이슈 자문
  • 글로벌 IT기업의 데이터 기반 온라인 플랫폼 구축에 따른 프로파일링, 마케팅, 정보주체의 권리, 제3자 계약 구조와 관련하여 각국 개인정보법 및 GDPR 대응 자문(대상 국가: EU 전체 국가, 미국, 중동, CIS, 동남아, 서남아, 중남미 등 총 50개국 이상)
  • 글로벌 IT기업의 ADID 등 온라인 광고 ID를 이용한 미국, 프랑스, 호주, 싱가포르, 한국 등 마케팅 활용 방안 자문
  • 글로벌 IT기업의 식별자 및 속성자의 비식별화 조치 방안 및 이용범위 자문
  • 글로벌 IT기업의 사업부 매각에 따른 임직원 및 고객 이전에 관한 이슈 자문
  • 글로벌 IT기업의 APP/서비스적법성 및 정보의 이용가능성, UX/UI 등 개인정보법 및 정보통신망법 이슈 자문
  • 글로벌 IT기업의 신규IoT 제품/서비스의 비즈니스 모델, 동의구조, 데이터공유, Privacy Notice 및 COPPA 적법성 등 자문
  • 기업의 국내/해외 정부 규제기관의 개인정보 점검 사전대응, 침해사고 및 유출사고 대응방안 자문
  • 글로벌 IT기업의 데이터 FLOW에 따른 CLOUD, IDC 등 신규 서버위치, 서버 구축 필요성, 구축 범위 및 서버 구축 방안 자문
  • 글로벌 IT기업의 국내 임직원 개인정보수집 이용 동의서, 개인정보 처리방침, 해외 임직원의 개인정보 국외이전 이슈 자문
  • 글로벌 IT기업의 임직원 채용전, 채용중, 퇴사시 DB 관리방안 및 임직원 모니터링, CCTV 등 근로자 개인정보 이슈 자문
  • 방송통신위원회 EU 적정성평가, APEC CBPR 관련 자문
  • 개인정보보호법, 정보통신망법의 개인정보 국외이전 조항 개정자문
  • 한국인터넷진흥원 GDPR관련 주요내용 및 법률 검토 자문
  • 행정안전부 영상정보보호법 제정 포럼 자문
  • 평창동계올림픽 정보보호 전문위원회 개인정보보호 자문
  • 글로벌 IT기업의 개인정보 및 컴플라이언스 현장 점검(EU 등 총 16개국)
  • 대기업 자회사의 컴플라이언스의 시스템 신규 구축 자문
  • 글로벌 IT기업의 공정거래, 영업비밀 자문 및 현장 점검
  • 전자상거래 관련 자문
  • 해외 기업의 국내 개인정보 보호 컴플라이언스 자문
  • 글로벌 대기업의 IoT, 온라인 서비스의 전세계향 개인정보 컴플라이언스 관련 자문
  • 글로벌 IT 기업의 국내대리인 업무
  • 개인정보 관련 법률 제정 및 개정 관련 자문

주요 활동펼치기

수상

  • 베스트 로이어: IT (한국경제·한국사내변호사회, 2024)
  • 대통령 표창 (개인정보보호유공, 2023)
  • Rising Star, 중앙일보: AI·핀테크·가상자산 (중앙일보·한국사내변호사회, 2023)
  • Leading Lawyer, Legal Times: TMT (리걸타임즈, 2023)
  • 개인정보보호위원회 위원장 표창 (개인정보보호유공, 2021)
  • 지능정보사회진흥원 원장 표창 (개인정보보호유공, 2020)
  • 방송통신위원회 위원장 표창 (개인정보보호유공, 2017)
  • 행정자치부 장관 표창 (개인정보보호유공, 2015)

저서 및 외부활동
    [저서]
     
    • 하반기 사이버 위협 동향 보고서 (공저, 한국인터넷 진흥원, 2024)
    • 국외이전 평가모델 개발 연구 (공저, 한국인터넷진흥원, 2024)
    • ICLG, Data Protection Laws and Regulations Report (공저, 2023)
    • “인공지능에서의 개인정보 보호”, 네이버 프라이버시 백서 (네이버, 2023)
    • 개인정보보호 연차보고서 (공저, 개인정보보호위원회, 2023)
    • 기술포럼 정책백서 (공저, 한국인터넷진흥원, 2023)
    • 마이데이터 활용에 따른 이익 분배방안 도입 연구 (공저, 한국인터넷진흥원, 2023)
    • 국가지능정보화백서 (공저, 한국지능정보사회진흥원, 2022)
    • 지능정보사회를 대비한 개인정보 이동에 관한 연구 (공저, 한국지능정보사회진흥원, 2020)
    • 데이터·AI 기반의 스마트도시 구현을 위한 법제개선방안 연구 (공저, 한국지능정보사회진흥원, 2020)
    • 지능정보사회를 대비한 개인정보 이동에 대한 연구 (공저, 한국정보화진흥원, 2020)
    • 개인정보 보호법 해설서 (공저, 개인정보 보호위원회, 2020)
    • 데이터 관련 법제도, 데이터산업 백서 통권 제22호 (공저, 한국데이터산업진흥원, 2019)
    • 프로파일링 관련 기술 동향 분석 및 개인정보 정책방향 연구 (공저, 한국인터넷진흥원, 2018)
    • 우리 기업을 위한 EU 일반 개인정보보호법(GDPR) 가이드북 (공저, 행정안전부 / 방송통신위원회 한국인터넷진흥원, 2018)
    • 우리 기업을 위한 EU 일반 개인정보보호법(GDPR) 안내서 (공저, 행정안전부 한국인터넷진흥원, 2017)
    • 우리 기업을 위한 EU 일반 개인정보보호법(GDPR) 1차 가이드라인 (공저, 행정안전부 한국인터넷진흥원, 2017)
     
    [활동]
     
    • “인공지능시대, 맞춤형 광고와 법제” 발제 (한국광고학회, 2024)
    • 발제, 개인영상정보 제정 관련 국회 토론회 (국회의원실, 2023)
    • 토론, 한국판 DSA 제정 국회 토론회 (국회의원실, 2023)
    • 토론, 차세대 농업농촌통합시스템 국회 토론회 (국회의원실, 2023)
    • 토론, 인공지능데이터 활용협의회 (과학기술정보통신부, 2023)
    • 발표, 생성형 AI와 프라이버시 위협 세미나 (디지털금융보안 포럼(IT조선), 2023)
    • “개인정보보호와 국민안전” 발표, 동계학술대회 (한국행정학회, 2023)
    • “인공지능에서와 개인정보 보호” 발표, 추계학술대회 (IT서비스학회, 2023)
    • 발표, 인공지능 보호·활용정책 관련 기술포럼 (개인정보 보호위원회, 2023)
    • 발표, 데이터 윤리 연구회 창립총회 (경영정보학회, 2023)
    • 발표, KAPP 개인정보전문가협회 세미나 (개인정보전문가협회, 2023)
    • 세미나, 고려대학교 리걸테크센터 개원세미나 (고려대학교, 2023)
    • 강의, 개인정보 아카데미 (개인정보 보호위원회, 2021, 2023)

학력

    Duke University School of Law (LL.M., 2022)

    고려대학교 정보보호대학원 (박사과정 수료, 2016)

    경북대학교 법학전문대학원 (법학전문석사, 수석졸업, 2012)

    고려대학교 (법학사, 2004)

자격

    변호사, 대한민국 (2012)

    Certified Information Privacy Professional/Europe (CIPP/E) (2017)

    개인정보 영향평가 전문인력 (PIA), 대한민국 (2015)

    정보보호 준비도 평가사, 대한민국 (2015)

    국제공인 정보보호 경영관리시스템 인증 선임심사원 (ISO27001) (2015)

    정보보호 및 개인정보보호 관리체계 인증심사원 (ISMS-P) (2019)

언어

한국어, 영어

관련 소식

업무분야 선택

레이어 닫기

업무분야 선택

레이어 닫기

공유하기

레이어 닫기
  

김도엽
변호사


T. 02-3703-1725      
F. 02-737-9091/9092
     
E. doyeup.kim@kimchang.com

  




김도엽 변호사는 IT, 개인정보 및 컴플라이언스 등 각종 규제 관련 분야에서 경력을 쌓아온 IT·방송통신 전문 변호사입니다.

김 변호사는 각종 서비스/시스템의 적법성 검토 및 개인정보 보호 및 인공지능 서비스의 거버넌스 구축, 개인정보를 이용한 빅데이터 분석, 국외전송, IoT에서의 데이터 이용, 맞춤형 광고 등 신사업 프로젝트를 담당하였으며, 특히, 고객 기반 맞춤형 광고 플랫폼 구축 프로젝트와 관련하여 EU, US, 중동, CIS, 동남아, 서남아, 중남미 지역에서 데이터 결합, 국외전송, 광고성 정보의 처리 등 법무이슈를 주도적으로 검토하였습니다. 김 변호사는 개인정보보호와 관련하여 ISMS-P (Personal information & Information Security Management System) 인증심사원, CIPP/E (Certified Information Privacy Professional/유럽), 국제 정보보호 경영시스템 인증심사원 (ISO 27001), 개인정보 영향평가 (PIA, Privacy Impact Assessment) 전문인력 자격을 보유하고 있으며, 고려대학교 정보보호대학원 정보보호학과에서 박사과정을 수료하였고, 국내/해외 정부 규제기관 조사 대응 및 개인정보 유출/도난 사건 대응 업무, 보건의료데이터, 신용정보 관련 다수의 자문 업무도 담당하여 진행한 바 있습니다.

김 변호사는 실무 경험을 바탕으로 개인정보보호위원회 고문변호사, 과학기술정보통신부 데이터분쟁조정위원, 방송통신위원회 자문변호사, 방송통신위원회 자율규제위원, 개인정보보호위원회 제도혁신자문단, 행정자치부 EU 적정성평가 민관합동추진단 위원, 행정자치부 전자정부 민관협력 포럼 위원, 한국인터넷진흥원 개인정보보호 포럼 위원, 국세청, 신용정보원·금융보안원·금융결제원의 적정성 평가위원으로 위촉되었으며, 영상정보 보호법, 개인정보 보호법, 정보통신망법 제·개정 자문 및 우리 기업을 위한 EU 일반 개인정보호법 (GDPR: General Data Protection Regulation) 안내서, GDPR 가이드라인, GDPR 가이드북을 공동 집필하는 등, 국내 개인정보 관련 법률은 물론, GDPR, CCPA (California Consumer Privacy Act)를 포함한 글로벌 개인정보 보호법 자문 및 Compliance 프로젝트 업무를 수행하고 있습니다.






    김·장 법률사무소 (2024-현재)

    개인정보 보호위원회 온라인 행태정보 보호 민·관협의체 위원(2024-현재)

    개인정보 보호위원회 가명정보 전문가(2024-현재)

    한국인터넷진흥원 개인정보 정책자문단(2024-현재)

    개인정보 보호위원회 국외이전전문위원회 위원 (2024-현재)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제3기 인공지능 윤리정책 포럼 윤리분과 위원 (2024-현재)

    국세청 소득자료 심의위원회 위원 (2024-현재)

    금융보안원 가명처리 적정성 평가위원 (2024-현재)

    개인정보보호위원회 인공지능 프라이버시 민·관 정책협의회 위원 (2023-현재)

    개인정보보호위원회 마이데이터 하위법령 TF 위원 (2023-현재)

    과학기술정보통신부 데이터 분쟁조정위원회 위원 (2023-현재)

    한국지능정보사회진흥원 지능법제도 포럼 위원 (2023-현재)

    서울대병원 데이터 심의위원회(Data Review Board) 위원 (2023-현재)

    국세청 국세통계센터 심의회 위원 (2023-현재)

    신용정보원 동의 등급제 평가위원 (2023-현재)

    보건의료정보원 표준화 추진 워킹그룹 위원 (2023-현재)

    사회보장정보원 보건복지분야 개인정보 비식별조치 적정성 평가위원 (2023-현재)

    인공지능법학회 대외협력이사 (2023)

    국토교통부 국토교통 데이터산업 활성화 포럼 위원 (2022)

    개인정보 보호위원회 기술포럼 기술분과 위원 (2022-현재)

    개인정보 보호위원회 고문변호사 (2020-현재)

    개인정보 보호위원회 제도혁신자문단 위원 (2019)

    신용정보원 CREDB 비식별정보 제공 심의위원회 위원 (2019-2021)

    방송통신위원회 개인정보 법령자문위원회 위원 (2019-2021)

    법무법인 태평양 (2018-2024)

    방송통신위원회 개인정보보호 자율규제위원회 위원 (2018-2020)

    한국인터넷진흥원 가명처리 적정성 평가위원 (2017-현재)

    신용정보원 금융분야 개인정보 비식별조치 적정성 평가위원 (2018-현재)

    금융보안원 금융분야 개인정보 비식별조치 적정성 평가위원 (2018-2021)

    행정자치부 영상정보전문가포럼 위원 (2016)

    행정자치부 한국·EU 적정성 전자정부 민관협력포럼 위원 (2016-2018)

    한국인터넷진흥원 개인정보보호 포럼 위원 (2016-2020)

    대한변호사협회 IT전문, 방송통신전문 변호사 (2015-현재)

    삼성전자 법무실 개인정보보호 사무국 (2012-2018)






  •   글로벌 IT기업의 글로벌 개인정보보호보호 체계 구축 (개인정보보호 거버넌스 수립, 내부 가이드라인, 국외전송, Privacy by Design, 글로벌/현지 Privacy Policy 자문)
  •   국내 금융사의 인공지능 거버넌스 체계 구축
  •   글로벌 IT기업의 데이터의 수집, 결합, 분석, 마케팅 관련 개인정보 이슈 자문
  •   글로벌 IT기업의 데이터 기반 온라인 플랫폼 구축에 따른 프로파일링, 마케팅, 정보주체의 권리, 제3자 계약 구조와 관련하여 각국 개인정보법 및 GDPR 대응 자문(대상 국가: EU 전체 국가, 미국, 중동, CIS, 동남아, 서남아, 중남미 등 총 50개국 이상)
  •   글로벌 IT기업의 ADID 등 온라인 광고 ID를 이용한 미국, 프랑스, 호주, 싱가포르, 한국 등 마케팅 활용 방안 자문
  •   글로벌 IT기업의 식별자 및 속성자의 비식별화 조치 방안 및 이용범위 자문
  •   글로벌 IT기업의 사업부 매각에 따른 임직원 및 고객 이전에 관한 이슈 자문
  •   글로벌 IT기업의 APP/서비스적법성 및 정보의 이용가능성, UX/UI 등 개인정보법 및 정보통신망법 이슈 자문
  •   글로벌 IT기업의 신규IoT 제품/서비스의 비즈니스 모델, 동의구조, 데이터공유, Privacy Notice 및 COPPA 적법성 등 자문
  •   기업의 국내/해외 정부 규제기관의 개인정보 점검 사전대응, 침해사고 및 유출사고 대응방안 자문
  •   글로벌 IT기업의 데이터 FLOW에 따른 CLOUD, IDC 등 신규 서버위치, 서버 구축 필요성, 구축 범위 및 서버 구축 방안 자문
  •   글로벌 IT기업의 국내 임직원 개인정보수집 이용 동의서, 개인정보 처리방침, 해외 임직원의 개인정보 국외이전 이슈 자문
  •   글로벌 IT기업의 임직원 채용전, 채용중, 퇴사시 DB 관리방안 및 임직원 모니터링, CCTV 등 근로자 개인정보 이슈 자문
  •   방송통신위원회 EU 적정성평가, APEC CBPR 관련 자문
  •   개인정보보호법, 정보통신망법의 개인정보 국외이전 조항 개정자문
  •   한국인터넷진흥원 GDPR관련 주요내용 및 법률 검토 자문
  •   행정안전부 영상정보보호법 제정 포럼 자문
  •   평창동계올림픽 정보보호 전문위원회 개인정보보호 자문
  •   글로벌 IT기업의 개인정보 및 컴플라이언스 현장 점검(EU 등 총 16개국)
  •   대기업 자회사의 컴플라이언스의 시스템 신규 구축 자문
  •   글로벌 IT기업의 공정거래, 영업비밀 자문 및 현장 점검
  •   전자상거래 관련 자문
  •   해외 기업의 국내 개인정보 보호 컴플라이언스 자문
  •   글로벌 대기업의 IoT, 온라인 서비스의 전세계향 개인정보 컴플라이언스 관련 자문
  •   글로벌 IT 기업의 국내대리인 업무
  •   개인정보 관련 법률 제정 및 개정 관련 자문





수상

  •   베스트 로이어: IT (한국경제·한국사내변호사회, 2024)
  •   대통령 표창 (개인정보보호유공, 2023)
  •   Rising Star, 중앙일보: AI·핀테크·가상자산 (중앙일보·한국사내변호사회, 2023)
  •   Leading Lawyer, Legal Times: TMT (리걸타임즈, 2023)
  •   개인정보보호위원회 위원장 표창 (개인정보보호유공, 2021)
  •   지능정보사회진흥원 원장 표창 (개인정보보호유공, 2020)
  •   방송통신위원회 위원장 표창 (개인정보보호유공, 2017)
  •   행정자치부 장관 표창 (개인정보보호유공, 2015)

저서 및 외부활동

[저서]
 
  •   하반기 사이버 위협 동향 보고서 (공저, 한국인터넷 진흥원, 2024)
  •   국외이전 평가모델 개발 연구 (공저, 한국인터넷진흥원, 2024)
  •   ICLG, Data Protection Laws and Regulations Report (공저, 2023)
  •   “인공지능에서의 개인정보 보호”, 네이버 프라이버시 백서 (네이버, 2023)
  •   개인정보보호 연차보고서 (공저, 개인정보보호위원회, 2023)
  •   기술포럼 정책백서 (공저, 한국인터넷진흥원, 2023)
  •   마이데이터 활용에 따른 이익 분배방안 도입 연구 (공저, 한국인터넷진흥원, 2023)
  •   국가지능정보화백서 (공저, 한국지능정보사회진흥원, 2022)
  •   지능정보사회를 대비한 개인정보 이동에 관한 연구 (공저, 한국지능정보사회진흥원, 2020)
  •   데이터·AI 기반의 스마트도시 구현을 위한 법제개선방안 연구 (공저, 한국지능정보사회진흥원, 2020)
  •   지능정보사회를 대비한 개인정보 이동에 대한 연구 (공저, 한국정보화진흥원, 2020)
  •   개인정보 보호법 해설서 (공저, 개인정보 보호위원회, 2020)
  •   데이터 관련 법제도, 데이터산업 백서 통권 제22호 (공저, 한국데이터산업진흥원, 2019)
  •   프로파일링 관련 기술 동향 분석 및 개인정보 정책방향 연구 (공저, 한국인터넷진흥원, 2018)
  •   우리 기업을 위한 EU 일반 개인정보보호법(GDPR) 가이드북 (공저, 행정안전부 / 방송통신위원회 한국인터넷진흥원, 2018)
  •   우리 기업을 위한 EU 일반 개인정보보호법(GDPR) 안내서 (공저, 행정안전부 한국인터넷진흥원, 2017)
  •   우리 기업을 위한 EU 일반 개인정보보호법(GDPR) 1차 가이드라인 (공저, 행정안전부 한국인터넷진흥원, 2017)
 
[활동]
 
  •   “인공지능시대, 맞춤형 광고와 법제” 발제 (한국광고학회, 2024)
  •   발제, 개인영상정보 제정 관련 국회 토론회 (국회의원실, 2023)
  •   토론, 한국판 DSA 제정 국회 토론회 (국회의원실, 2023)
  •   토론, 차세대 농업농촌통합시스템 국회 토론회 (국회의원실, 2023)
  •   토론, 인공지능데이터 활용협의회 (과학기술정보통신부, 2023)
  •   발표, 생성형 AI와 프라이버시 위협 세미나 (디지털금융보안 포럼(IT조선), 2023)
  •   “개인정보보호와 국민안전” 발표, 동계학술대회 (한국행정학회, 2023)
  •   “인공지능에서와 개인정보 보호” 발표, 추계학술대회 (IT서비스학회, 2023)
  •   발표, 인공지능 보호·활용정책 관련 기술포럼 (개인정보 보호위원회, 2023)
  •   발표, 데이터 윤리 연구회 창립총회 (경영정보학회, 2023)
  •   발표, KAPP 개인정보전문가협회 세미나 (개인정보전문가협회, 2023)
  •   세미나, 고려대학교 리걸테크센터 개원세미나 (고려대학교, 2023)
  •   강의, 개인정보 아카데미 (개인정보 보호위원회, 2021, 2023)





학력

    Duke University School of Law (LL.M., 2022)

    고려대학교 정보보호대학원 (박사과정 수료, 2016)

    경북대학교 법학전문대학원 (법학전문석사, 수석졸업, 2012)

    고려대학교 (법학사, 2004)


자격

    변호사, 대한민국 (2012)

    Certified Information Privacy Professional/Europe (CIPP/E) (2017)

    개인정보 영향평가 전문인력 (PIA), 대한민국 (2015)

    정보보호 준비도 평가사, 대한민국 (2015)

    국제공인 정보보호 경영관리시스템 인증 선임심사원 (ISO27001) (2015)

    정보보호 및 개인정보보호 관리체계 인증심사원 (ISMS-P) (2019)


언어
  •    한국어, 영어





프라이버시·정보보호 ,  방송·통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