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메뉴

김상오 변호사

T.02-6488-2989 F.02-737-9091/9092
김상오 변호사
김상오 변호사

김상오변호사

T.02-6488-2989 F.02-737-9091/9092 E.sangoh.kim@kimchang.com

프로필

경력

김·장 법률사무소 (2023-현재)

공익법무관 (2020-2023)

주요 활동펼치기

저서 및 외부활동
    저서
     
    • “착오-형법학 논고,” 이용식교수 고희기념논문집 (박영사, 2025)
    • “범죄피해구조금과 손해배상청구권의 관계,” 법조 제71권 제6호 (법조협회, 2022.12.)
    • “적극적 위법성요소,” 형사법연구 제34권 제3호 (한국형사법학회, 2022.9.)
    • “소송법에서 당위의 무게,” 형사법연구 제34권 제1호 (한국형사법학회, 2022.3.)
    • “객관주의에 기초한 미수범의 성립 제한,” 고려법학 제102호 (고려대학교 법학연구원, 2021.9.)
    • “사인이 수집한 증거의 증거능력에 대한 판례의 판단구조,” 형사법연구 제32권 제4호 (한국형사법학회, 2020.12.)
    • “준강간 불능미수 판례에 대한 이해와 오해,” 홍익법학 제21권 제1호 (홍익대학교 법학연구소, 2020.2.)
    • “주관적 정당화요소 불요론,” 법학연구 제29권 제1호 (연세대학교 법학연구원, 2019.3.)
     
    활동
     
    • “유류물 압수와 피압수자의 참여권” 발표, 제1214차 판례연구발표회 (서울지방변호사회, 2025)
    • “Justifying Unknowing Justification” 발표, The 31st IVR World Congress (IVR, 2024)
    • “위법성조각사유의 전제사실에 대한 착오” 발표, 제1189차 판례연구발표회 (서울지방변호사회, 2024)
    • “A Relation Between Act and Criminal Capacity” 발표, The 2nd IVR Japan International Conference (IVR Japan, 2023)
    • “주관적 정당화요소 불요론” 발표, 제9회 서울대학교 법학 신진예비연구자 학술대회 (서울대학교 법학연구소, 2019)
    • “An Empirical Approach to Lenient Punishment for White-Collar Crimes” 발표, The 18th Annual Conference of the European Society of Criminology (European Society of Criminology, 2018)
    • “Can Universal Jurisdiction be Universal?” 발표, The 8th Annual Conference of Asian Criminological Society (Asian Criminological Society, 2016)

학력

    서울대학교 대학원 (법학박사과정 수료, 형사법, 2023)

    서울대학교 법학전문대학원 (법학전문석사, 2020)

    제9회 변호사시험 합격 (2020)

    서울대학교 (학사, 범죄학, 2017)

자격

    변호사, 대한민국 (2020)

언어

한국어, 영어, 독일어

관련 소식

업무분야 선택

레이어 닫기

업무분야 선택

레이어 닫기

공유하기

레이어 닫기
  

김상오
변호사


T. 02-6488-2989      
F. 02-737-9091/9092
     
E. sangoh.kim@kimchang.com

  




    김·장 법률사무소 (2023-현재)

    공익법무관 (2020-2023)






저서 및 외부활동

저서
 
  •   “착오-형법학 논고,” 이용식교수 고희기념논문집 (박영사, 2025)
  •   “범죄피해구조금과 손해배상청구권의 관계,” 법조 제71권 제6호 (법조협회, 2022.12.)
  •   “적극적 위법성요소,” 형사법연구 제34권 제3호 (한국형사법학회, 2022.9.)
  •   “소송법에서 당위의 무게,” 형사법연구 제34권 제1호 (한국형사법학회, 2022.3.)
  •   “객관주의에 기초한 미수범의 성립 제한,” 고려법학 제102호 (고려대학교 법학연구원, 2021.9.)
  •   “사인이 수집한 증거의 증거능력에 대한 판례의 판단구조,” 형사법연구 제32권 제4호 (한국형사법학회, 2020.12.)
  •   “준강간 불능미수 판례에 대한 이해와 오해,” 홍익법학 제21권 제1호 (홍익대학교 법학연구소, 2020.2.)
  •   “주관적 정당화요소 불요론,” 법학연구 제29권 제1호 (연세대학교 법학연구원, 2019.3.)
 
활동
 
  •   “유류물 압수와 피압수자의 참여권” 발표, 제1214차 판례연구발표회 (서울지방변호사회, 2025)
  •   “Justifying Unknowing Justification” 발표, The 31st IVR World Congress (IVR, 2024)
  •   “위법성조각사유의 전제사실에 대한 착오” 발표, 제1189차 판례연구발표회 (서울지방변호사회, 2024)
  •   “A Relation Between Act and Criminal Capacity” 발표, The 2nd IVR Japan International Conference (IVR Japan, 2023)
  •   “주관적 정당화요소 불요론” 발표, 제9회 서울대학교 법학 신진예비연구자 학술대회 (서울대학교 법학연구소, 2019)
  •   “An Empirical Approach to Lenient Punishment for White-Collar Crimes” 발표, The 18th Annual Conference of the European Society of Criminology (European Society of Criminology, 2018)
  •   “Can Universal Jurisdiction be Universal?” 발표, The 8th Annual Conference of Asian Criminological Society (Asian Criminological Society, 2016)





학력

    서울대학교 대학원 (법학박사과정 수료, 형사법, 2023)

    서울대학교 법학전문대학원 (법학전문석사, 2020)

    제9회 변호사시험 합격 (2020)

    서울대학교 (학사, 범죄학, 2017)


자격

    변호사, 대한민국 (2020)


언어
  •    한국어, 영어, 독일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