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메뉴

이완형 변호사

이완형 변호사
이완형 변호사

이완형변호사

T.02-3703-1923 F.02-737-9091/9092 E.wanhyung.lee@kimchang.com

관련 분야

소개

김·장 법률사무소의 이완형 변호사는 기업형사 소송, 자본시장, 행정소송 및 행정구제, 세무조사 및 조세쟁송, 핀테크·IT규제, 건설부동산 분쟁 분야에서 자문을 제공합니다.

이 변호사는 2005년부터 2022년까지 17년간 서울중앙지방법원, 서울동부지방법원, 청주지방법원, 창원지방법원, 수원지방법원 성남지원 등의 법원에서 판사와 부장판사로 재직하면서 민사, 형사, 행정 소송 등 다양한 분야의 재판 업무를 수행하였습니다. 또한 대법원에서 재판연구관, 형사총괄재판연구관으로 근무하면서 판례 형성을 위한 심층적인 법리 연구작업을 수행한 바 있습니다.

프로필

경력

김·장 법률사무소 (2022-현재)

고려대학교 법학전문대학원 겸임교수 (2022-현재)

대법원 재판연구관 (2020-2022)

창원지방법원 밀양지원 부장판사(겸임) (2018-2019)

창원지방법원 부장판사 (2018-2020)

대법원 재판연구관 (2015-2018)

서울동부지방법원 판사 (2013-2015)

서울중앙지방법원 판사 (2011-2013)

수원지방법원 성남지원 판사 (2008-2011)

청주지방법원 판사 (2005-2008)

육군법무관 (2002-2005)

주요 활동펼치기

수상

  • 우수법관 (경남변호사회, 2019)

저서 및 외부활동
    • “도주와 범인은닉의 죄”, 형법주해 각칙 집필진 (박영사, 2023.1.)
    • “압수수색영장의 제시 범위 및 방법”, 김신대법관재임기념논문집 (사법발전재단, 2018)
    • “변호인 접견교통권의 주체와 행사의 한계”, 김신대법관재임기념논문집 (사법발전재단, 2018)
    • “배임죄에서 계열사 지원행위와 경영판단의 한계”, BFL 91권 (서울대학교 금융법센터, 2018.9.)
    • “기업집단 내 계열회사 간 지원행위의 업무상배임죄 성립 여부”, 사법 통권 43호 (사법발전재단, 2018.3.)

학력

    대법원 사법연수원 (31기, 2002)

    제41회 사법시험 합격 (1999)

    고려대학교 (법학사, 1997)

자격

    변호사, 대한민국 (2002)

언어

한국어, 영어

업무분야 선택

레이어 닫기

업무분야 선택

레이어 닫기

공유하기

레이어 닫기
  

이완형
변호사


T. 02-3703-1923      
F. 02-737-9091/9092
     
E. wanhyung.lee@kimchang.com

  




김·장 법률사무소의 이완형 변호사는 기업형사 소송, 자본시장, 행정소송 및 행정구제, 세무조사 및 조세쟁송, 핀테크·IT규제, 건설부동산 분쟁 분야에서 자문을 제공합니다.

이 변호사는 2005년부터 2022년까지 17년간 서울중앙지방법원, 서울동부지방법원, 청주지방법원, 창원지방법원, 수원지방법원 성남지원 등의 법원에서 판사와 부장판사로 재직하면서 민사, 형사, 행정 소송 등 다양한 분야의 재판 업무를 수행하였습니다. 또한 대법원에서 재판연구관, 형사총괄재판연구관으로 근무하면서 판례 형성을 위한 심층적인 법리 연구작업을 수행한 바 있습니다.






    김·장 법률사무소 (2022-현재)

    고려대학교 법학전문대학원 겸임교수 (2022-현재)

    대법원 재판연구관 (2020-2022)

    창원지방법원 밀양지원 부장판사(겸임) (2018-2019)

    창원지방법원 부장판사 (2018-2020)

    대법원 재판연구관 (2015-2018)

    서울동부지방법원 판사 (2013-2015)

    서울중앙지방법원 판사 (2011-2013)

    수원지방법원 성남지원 판사 (2008-2011)

    청주지방법원 판사 (2005-2008)

    육군법무관 (2002-2005)






수상

  •   우수법관 (경남변호사회, 2019)

저서 및 외부활동

  •   “도주와 범인은닉의 죄”, 형법주해 각칙 집필진 (박영사, 2023.1.)
  •   “압수수색영장의 제시 범위 및 방법”, 김신대법관재임기념논문집 (사법발전재단, 2018)
  •   “변호인 접견교통권의 주체와 행사의 한계”, 김신대법관재임기념논문집 (사법발전재단, 2018)
  •   “배임죄에서 계열사 지원행위와 경영판단의 한계”, BFL 91권 (서울대학교 금융법센터, 2018.9.)
  •   “기업집단 내 계열회사 간 지원행위의 업무상배임죄 성립 여부”, 사법 통권 43호 (사법발전재단, 2018.3.)





학력

    대법원 사법연수원 (31기, 2002)

    제41회 사법시험 합격 (1999)

    고려대학교 (법학사, 1997)


자격

    변호사, 대한민국 (2002)


언어
  •    한국어, 영어





기업형사 소송 ,  자본시장 ,  행정 소송 및 행정 구제 ,  세무조사 및 조세쟁송 ,  핀테크·IT규제 ,  소송