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물다양성 관련 국제적 이니셔티브인 ‘자연관련 재무정보공개 협의체’(Taskforce on Nature-related Financial Disclosures, “TNFD”)는 2023. 9. 19. 자연관련 리스크 관리 및 공시에 대한 최종 권고안(이하 “TNFD 권고안”)을 발표하였습니다. TNFD 권고안에서는 기업이 자연 관련 의존도, 영향, 리스크와 기회를 확인·평가·관리하고 공시하는 과정에서 ‘LEAP’ 접근법을 활용하도록 권장하고 있으며, 이에 대한 가이던스(이하 “LEAP 가이던스”)도 별도로 발표되었습니다.
LEAP 접근법은 기업과 관련된 자연의 위치를 파악하고(Locate), 자연에 대한 의존도와 영향을 측정한 후(Evaluate), 기업의 리스크와 기회를 평가하여(Assess), 이에 대응하고 공시를 준비하는(Prepare) 단계적 접근법이자 내부 실사 평가 프로세스입니다.
LEAP 가이던스에서 권장하는 LEAP 접근법의 구성요소와 주요 질문은 아래와 같습니다.
Locate |
Evaluate |
Assess |
Prepare |
L1 사업 모델과 value chain의 범위 식별
|
E1 환경자산, 생태계 서비스, 영향을 주는 동인 식별
|
A1 리스크와 기회 식별
|
P1 전략과 자원분배계획
|
L2 의존도와 영향 스크리닝
|
E2 의존도 및 영향 식별
|
A2 기존 리스크 완화 및 리스크·기회 관리
|
P2 목표 설정 및 성과 관리
|
L3 자연과의 접점
|
E3 의존도 및 영향 측정
|
A3 리스크와 기회 측정 및 우선순위화
|
P3 보고
|
L4 민감지역과의 접점
|
E4 영향의 중요도 평가
|
A4 리스크와 기회 중요도 평가
|
P4 공시
|
Locate 단계는 위험과 기회를 파악하기 위해 지역의 범위를 어떻게 설정하는지가 중요합니다. 기업의 사업활동이 국내에서 이루어지는 경우, 사업활동, value chain 등이 자연환경보전법에 따른 생태·경관보전지역, 습지보전법에 따른 습지보호지역, 자연공원법에 따른 자연공원, 야생생물 보호 및 관리에 관한 법률에 따른 야생생물 보호구역, 수도법에 따른 상수원보호구역, 유네스코가 선정한 생물권보전지역 등과 관련되어 있는지 확인하는 것이 바람직합니다.
Evaluate 단계는 자연자본 의존도와 영향을 진단하기 위하여 전세계 산업분류기준에 근거하여 ENCORE라는 툴을 권고하고 있습니다. 바다, 담수, 육지, 대기 4가지 영역의 변화, 기후변화, 자원이용도, 오염도, 외래종 도입과 같은 분류방법을 바탕으로 측정을 권고하고 있어, 추후 각국의 환경법 등과 연결하여 생물다양성 관련 내용을 입법화하도록 방향을 설정할 수 있을 것으로 예측됩니다.
Assess 단계는 자연 관련 의존도 및 영향에 따라 기업이 노출된 위험 및 기회에 대한 지표를 이용하여 평가한 후 시나리오 분석을 통해 검토할 것을 권고하고 있습니다.
Prepare 단계는 SBTN (Science Based Targets Network)의 목표설정 방법으로 SBTs for Nature 이라는 가이던스를 제시하고 있습니다. SBTs for Nature는 해양, 담수, 육지, 생물다양성에 대한 영향을 수치화하고 악영향을 주는 부분을 줄이기 위한 목표를 설정하고 있습니다.
LEAP 가이던스는 각 단계에서 기업들이 참고할 수 있는 툴을 다양하게 제시하여 이를 활용하는 것을 권장하고 있으며, 툴 전체 목록은 ‘TNFD Tools Catalog’ 웹사이트에서 확인이 가능합니다.
이와 같이, LEAP 접근법은 생물다양성 공시에 대한 가이던스를 구체적으로 제시하고 있으므로, 기업은 LEAP 접근법을 충실히 이해하고, 선제적으로 기업의 내부 실사 평가 프로세스에 이를 반영하는 절차를 수립하는 것이 필요합니다.
관련 이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