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메뉴
뉴스레터

한국형 탄소중립 100대 핵심기술 확정 및 기술혁신 로드맵 수립

2023.07.05

정부는 2023. 5. 19. 국가과학기술자문회의 산하 탄소중립기술특별위원회를 개최해, 올해 4월 발표된 ‘탄소중립 녹색성장 기본계획’의 후속 조치로서 ‘한국형 탄소중립 100대 핵심기술’(이하 “100대 핵심기술”)을 선정하고, 석유화학·철강·시멘트 등 다배출업종에 대해서는 ‘탄소중립 기술혁신 로드맵’을 발표하였습니다. 100대 핵심기술과 기술혁신 로드맵의 주요 내용은 다음과 같습니다.
 

1.

한국형 탄소중립 100대 핵심기술
 

100대 핵심기술은 범부처 차원의 탄소중립 기술개발 방향성 제시를 목적으로 우리나라의 지리적 여건과 고탄소 제조업 중심 산업구조, 기술 수준 등을 고려하여, 국내외 탄소중립 세부 후보기술 약 450개 중에서 총 100개 기술을 선정하였습니다.
 
이번에 선정된 100대 핵심기술은 4개 부문(에너지 전환, 산업, 수송·교통, 건물·환경 부문) 17개 중점 분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또한 기술 수준별(초격차 기술, 신격차 기술, 감격차 기술)1 및 기간별(단기형 및 중장기형)2로 구분하여 다각적인 분산 투자 전략을 마련함으로써 전략적 기술개발 투자 방향을 설계하였다는 특징이 있습니다.
 

[한국형 탄소중립 100대 핵심기술 목록]

 

단기형(~2030년 상용화) (37개)

중장기형 (2030년 이후 상용화) (63개)

초격차(9)

[에너지전환 부문]

  • (수소) 기체수소 저장·운송

  • (전력저장) 단주기 에너지 저장 시스템

  • (원자력) 소형모듈원자로(SMR)
     

[수송·교통 부문]

  • (친환경차) 이차전지 셀 고도화

  • (친환경차) 이차전지 시스템 고도화

  • (친환경차) 연료전지 시스템 고도화

[산업 부문]

  • (철강) 수소환원제철

  • (석유화학) 연료유·부산물 기초화학 원료 전환

  • (산업일반) 친환경 냉매

신격차(39)

[에너지전환 부문]

  • (태양광) 초고효율 태양전지

  • (태양광) 사용처 다변형 태양광시스템

  • (태양광) 폐태양광 재활용 재사용

  • (수소) 해외 암모니아·수소 대용량 저장·운송

  • (무탄소전력) 고효율 연료전지 열병합

  • (전력저장) 사용후 배터리 ESS 시스템

  • (전력망) 분산자원 및 유연자원 통합운영
     

[산업 부문]

  • (철강) 고로 연·원료 대체

  • (철강) 전로 연·원료 대체

  • (철강) 철강산업 하공정 무탄소 연료 전소

  • (석유화학) 바이오 PEF

  • (석유화학) 바이오폴리올

  • (석유화학) 폐플라스틱 자동 선별
     

[수송·교통 부문]

  • (친환경차) 전기구동시스템 성능 향상

  • (친환경차) 전력변환장치 고도화

  • (친환경차) 유선충전 고속화
     

[건물·환경 부문]

  • (환경) 바이오 생분해성 플라스틱

[에너지전환 부문]

  • (풍력) 수직축 부유식 풍력발전

  • (수소) 차세대 수전해

  • (수소) 액체수소 운송선

  • (전력저장) 장주기 에너지 저장 시스템
     

[산업 부문]

  • (석유화학) 부생가스 고부가 전환

  • (석유화학) 바이오나프타·올레핀

  • (석유화학) 폐플라스틱 용매 추출

  • (석유화학) 폐플라스틱 해중합

  • (석유화학) 폐플라스틱 열분해

  • (석유화학) 폐플라스틱 가스화

  • (석유화학) 저에너지 반응 공정

  • (석유화학) 저에너지 분리·소재 공정

  • (CCUS) 습식 포집

  • (CCUS) 건식 포집

  • (CCUS) 차세대 포집

  • (산업일반) 공정가스 대체

  • (산업일반) 공정가스 처리
     

[수송·교통 부문]

  • (선박) 연료 후처리 및 에너지 효율향상
     

[건물·환경 부문]

  • (건축) 건물에너지 관리·제어·데이터 활용

  • (환경) 리뉴어블 플라스틱

  • (환경) 금속자원 회수

  • (환경) 국토공간 유형별 탄소 흡수 증진·관리

감격차(52)

[에너지전환 부문]

  • (풍력) 해상풍력 부유체 시스템

  • (풍력) 해상풍력 설치·시공

  • (수소) 알칼라인 수전해

  • (수소) PEM 수전해

  • (무탄소 전력) 수소혼소 가스터빈
     

[산업 부문]

  • (시멘트) 혼합재 함량 증대

  • (CCUS) 분리막 포집

  • (CCUS) 화학적 전환

  • (CCUS) 광물 탄산화
     

[수송·교통 부문]

  • (친환경차) 수소차용 수소저장시스템

  • (친환경차) 수소충전소

  • (선박) 탄소중립 내연기관

  • (선박) 선박용 연료전지·배터리 시스템
     

[건물·환경 부문]

  • (건축) 고성능·다기능 외피

[에너지전환 부문]

  • (풍력) 초대형 풍력 터빈

  • (풍력) 해상풍력발전 운영·관리

  • (수소) 액체수소 저장·운송

  • (수소) 수소 전용 배관망

  • (수소) 차세대 해외수소 저장·운송

  • (수소) 액체수소 인수기지

  • (무탄소전력) 수소전소 가스터빈

  • (무탄소전력) 석탄 보일러 암모니아 혼소

  • (무탄소전력) 초고효율 연료전지 복합발전

  • (전력망) 지능형 송배전 시스템

  • (전력망) 실시간 전력거래 플랫폼

  • (에너지통합) 산업용 고온·초저온 히트펌프

  • (에너지통합) 복합에너지시스템

  • (에너지통합) 열에너지 저장시스템

  • (원자력) 선진 원자력 시스템

  • (원자력) 원자력 폐기물 관리
     

[산업 부문]

  • (철강) 탄소 저감형 전기로

  • (철강) 철강 부산물 재자원화

  • (석유화학) 전기 가열로 NCC 시스템

  • (석유화학) 무탄소 연료 NCC 공정

  • (석유화학) 스마트 플랜트 전환

  • (시멘트) 비탄산염 원료 대체

  • (시멘트) 신규 혼합재 제조

  • (시멘트) 순환자원 연료 대체

  • (시멘트) 저탄소 신열원 활용

  • (CCUS) 저장소 탐사·평가·선정

  • (CCUS) 저장 시설·설비 설계·구축

  • (CCUS) 저장소 CO2 주입·운영

  • (CCUS) CO2 저장 모니터링

  • (CCUS) 생물학적 전환

  • (산업일반) 산업공정용 수소·암모니아 활용

  • (산업일반) 전동기·전력변환기 효율화

  • (산업일반) 그린데이터센터

  • (산업일반) 탄소배출 저감 효과 모니터링
     

[수송·교통 부문]

  • (친환경차) 무선충전 대용량화

  • (선박) 선박 전기추진 시스템
     

[건물·환경 부문]

  • (건축) 건물·설비 전기화·고효율화

  • (건축) 건물 신재생 에너지 및 에너지융합시스템

 

  • 에너지 전환 부문에서는 고효율화, 대형화 관련 8개 분야 35개 기술을 선정하였습니다. 기존 국내 경쟁력이 높은 태양광·전력저장은 초격차 및 신격차 기술로 배치하고, 에너지 안보 등을 고려하여 기술내재화가 필요한 감격차 기술도 선정하였습니다.

  • 산업 부문은 전반적인 공정 혁신 기술을 중심으로 5개 분야 44개 기술을 선정하였습니다. 철강, 석유화학 분야는 대부분의 기존 공정에서 대대적 혁신이 요구되는 만큼 주로 신격차 기술, 중장기형 기술로 선정하고, CCUS 분야는 감격차 기술로 선정하여 빠른 기술 추격을 지원해 나갈 계획입니다.

  • 수송·교통 부문은 2개 분야 13개 기술을 선정하였습니다. 친환경 자동차 분야는 우리나라가 경쟁력을 확보하고 있는 분야로서 주로 초격차 및 신격차 기술 중심으로 선정하고, 선박 분야는 기자재 경쟁력이 다소 낮은 점을 고려하여 감격차 기술 중심으로 선정하였습니다.

  • 건물·환경 부문에서는 2개 분야 8개 기술 선정이 이뤄졌습니다. 제로에너지건물 분야는 우리 여건에 맞는 기술 내재화를 위해 감격차 기술 중심으로 선정됐으며, 환경분야는 신격차 기술 중심으로 선정하여 중장기적으로 육성해 나갈 계획입니다.
     

2.

탄소중립 기술혁신 로드맵 – 석유화학·철강·시멘트 분야
 

탄소중립 기술혁신 로드맵은 ‘30년 전후를 기점으로 상용기술 확보하는 것을 목표로 하여 구체적인 단계별 목표와 시한을 정하고 전(前)단계 개발이 성공할 경우 후속 개발로 진행하는 방식으로 기획되었습니다. 주요 분야별 요약은 아래와 같습니다.
 

  • (석유화학 로드맵) 정부는 (1) 고탄소 연료를 전기 혹은 무탄소 연료로 전환, (2) 친환경 바이오매스 기반의 원료 대체, (3) 폐플라스틱 공정 유형별로 연속식 생산 공정 기술을 적용해 재활용 증가, (4) 저급 연료유 및 부산물을 기초 화학원료로 전환하고 공정 과정에서 발생되는 에너지를 절감하는 신공정 개발 등 4가지 분야에 대한 기술을 확보할 계획입니다.
    * 예시 : [전기 가열로] 1단계- 2028년까지 원천기술(직접가열, 플라즈마) 확보 → 2단계- 2030년까지 단일 튜브 규모 실증 → 3단계- 2030년 이후 NCC 1기 이상 사용규모로 확대

  • (철강 로드맵) 정부는 (1) 고로-전로 공정의 연·원료를 저탄소 연·원료로 대체, (2) 전기로 공정의 에너지 효율 제고 및 저탄소 연료 대체, (3) 수소환원제철로 전환, (4) 하공정의 석탄계 연료를 수소 및 암모니아로 전환, (5) 부산물 재활용 등 5가지 분야의 기술을 확보해나갈 계획입니다.
    * 예시 : [고로 연·원료 대체] 1단계- 2025년까지 테스트베드를 활용한 소규모 실증 → 2단계- 2028년까지 상용급 고로 실증(2,500㎥급 이상) → 3단계- 2029년 이후 단계적 확대 적용

  • (시멘트 로드맵) 정부는 (1) 클링커 제조 시 석회석을 비탄산염 원료로 대체 및 혼합재 함량 증대, (2) 유연탄 등 연료를 순환연료 및 무탄소 연료로 대체하는 등 2가지 분야의 기술을 확보할 계획입니다.
    * 예시: [비탄산염 원료 대체] 1단계- 2025년까지 원천기술 개발 및 소규모 실증 → 2단계- 2029년까지 상용급 킬른 실증 → 3단계- 2030년 이후 단계적 확대 적용
     

정부는 이번에 선정한 100대 핵심기술 관련 사업에의 우선적 투자를 위해 범부처 통합적으로 예산 배분·조정을 추진할 계획입니다. 또한 주기적 검토, 필요시 신규 분야 및 기술 추가, 기준 분야 범위·목표 재조정 등을 통해 국내외 기술변화에 탄력적이고 전략적으로 대응한다는 입장입니다. 아울러 탄소중립 기술혁신 로드맵은 정부 연구개발 투자의 기본 청사진으로 활용될 예정입니다. 정부가 선별한 100대 핵심 기술 및 로드맵은 기업에게 혁신기술 전략 마련을 위한 기준을 제공함으로써 탄소중립과 녹색성장을 동시에 실현하는데 도움을 줄 것으로 기대되는 바, 기업의 기술전략과의 정합성을 점검해 나가야 할 것으로 보입니다.
 


1   초격차 기술(9개) : 세계 최고 수준 기술력을 보유하여, 선두를 유지하고 격차를 확대해 나갈 기술, 신격차 기술(39개) : 세계적으로 기술 개발 초기 단계로 신시장 창출·선점이 가능한 기술, 감격차 기술(52개) : 선도국과 다소 기술 수준 격차가 있어 격차를 해소해 나가야 할 기술

 단기형(2030년까지 상용화 목표), 중장기형(2030년 이후 상용화 목표)

공유하기

레이어 닫기

관련 구성원

레이어 닫기

관련 구성원

레이어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