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 7. 22. 1차 개정 상법이 시행된 이후, 2025. 8. 25. 2차 상법 개정안이 국회 본회의를 통과하였으며, 2025. 9. 9. 공포되었고, 부칙에 따라 공포 후 1년이 경과한 2026. 9. 10. 시행될 예정입니다. 나아가 국회에서는 더불어민주당을 중심으로 2025. 9. 중 자기주식 소각 의무화를 포함하는 3차 상법 개정을 추진하고 있습니다. 이에 따라 향후 상장회사의 주주총회· 이사회·감사위원회 운영 방식과 기업지배구조 정책 등에 큰 변화가 발생할 것으로 예상되는바, 관련 규제에 대한 전략적인 대응이 필요합니다.
1. |
2025. 9. 9.자 개정 상법의 주요 내용 및 실무적 고려사항 |
(1) |
대규모 상장회사의 집중투표제 의무화 도입 |
(2) |
대규모 상장회사의 감사위원 분리 선임 확대 |
2. |
상법 관련 추가 입법 동향 |
(1) |
자기주식 의무 소각에 관한 상법 개정안
|
(2) |
경영판단 원칙의 명문화 등 개정 상법 관련 입법 동향
|
3. |
의무공개매수제도 도입 관련 자본시장법 입법 동향 |
2025. 9. 9.자로 2차 상법 개정안이 공포됨에 따라 향후 상장회사의 주주총회·이사회·감사위원회 운영 방식 및 기업지배구조 정책에도 광범위한 변화를 가져올 것으로 예상됩니다. 기업 입장에서는 강화된 주주권 보호 및 경영 투명성 강화라는 새로운 규제 환경 속에서 현실적으로 어떤 리스크와 이슈가 발생할 수 있는지 사전 점검하고, 회사 상황과 업종 특성에 맞는 최적의 운영 방안을 신속히 마련할 필요성이 더욱 커졌습니다. 또한, 자기주식에 대한 원칙적 소각 제도화 및 의무공개매수제도 도입 등 현재 논의되고 있는 상법 및 자본시장법 개정안이 기업에 미칠 영향 역시 모니터링이 필요합니다. 이처럼 변화하는 법·제도 환경에 따른 영향을 꼼꼼히 분석하고, 회사의 정책과 절차를 재정비하는 등 체계적인 대응방안을 미리 마련하는 것이 기업 경영의 안정성을 높이는 데 도움이 될 것으로 보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