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트럼프 정부의 親가상자산 정책과 GENIUS Act의 통과에 따라, 우리나라 정부와 국회에서도 앞다투어 스테이블코인에 관한 정책을 내놓고 있습니다. 본 뉴스레터에서는 스테이블코인 관련 국내 정책 동향을 정리합니다.
스테이블코인은 법정화폐나 자산에 연동되어 안정적 가격을 유지하도록 설계된 가상자산을 의미합니다. 블록체인 기술의 장점(투명성, 보안, 탈중앙화 등)을 살리면서, 기존 가상자산의 가격 불안정성 문제를 해결하여 실용성을 높이기 위해 등장하였습니다. 미국 트럼프 정부는 親가상자산 정책의 일환으로 (1) 미국 달러의 지배력 강화와 (2) 미국 국채에 대한 수요를 창출하고자 스테이블코인의 육성 전략을 발표한 바 있습니다. 이에 따라 스테이블코인에 대한 미국 연방 차원 최초의 포괄적인 규제 체계인 GENIUS Act가 2025. 7. 18. 제정되었습니다. 그 영향으로 인해 국내에서도 스테이블코인 정책 도입에 관한 논의가 활발히 이뤄지고 있습니다.
이재명 정부는 원화 스테이블코인의 도입을 대선공약으로 발표하였고, 금융위원회도 스테이블코인에 대한 규율체계가 포함된 2단계 가상자산 법안을 마련 중이며, 동시에 입법 전에 규제샌드박스 제도를 통한 스테이블코인 발행 방안을 고려하고 있습니다. 국회에서도 앞다투어 스테이블코인에 관한 법안들이 발의되고 있습니다. 이하에서 그 주요 내용을 설명합니다.
1. |
이재명 정부의 원화 스테이블코인 도입 정책
|
2. |
국회에 발의된 스테이블코인 관련 법안
|
스테이블코인은 가상자산 생태계뿐만 아니라 결제, 송금과 같은 디지털 금융 영역에서 그 사용처를 빠르게 넓혀가고 있습니다. 미국의 적극적인 스테이블코인 육성 전략에 대응하여, 우리나라에서도 원화 스테이블코인에 관한 정책 논의가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습니다. 스테이블코인은 가상자산에 적용되는 자금세탁방지 및 이용자 자산 보호 규제는 물론이고, 사업자의 건전성과 금융시장에 미치는 영향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제반 규제가 마련될 것으로 예상됩니다. 이에 스테이블코인을 발행, 유통하거나 사용하려는 사업자들은 정책 현황을 적시에 모니터링하고 새로운 정책에 신속하게 대응하여 사업을 영위할 수 있도록 준비할 필요가 있습니다.